부정맥이해

부정맥의 진단

부정맥의 진단 I

부정맥은 심전도로 진단합니다.

증상은 환자분들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두근거림, 호흡곤란, 피로감, 심계항진, 흉통 등) 증상이 없는 부정맥도 있으나, 증상이 있는 부정맥은 대부분 잠시 나타났다가 숨어버리는 경우가 많아 12-유도 심전도에 추가 검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부정맥진단
보행형 심전도 (Ambulatory ECG)
  • 보행형 심전도는 장기간에 걸쳐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할 수 있는 휴대용 기계로, 검사 중 일상생활이 가능합니다.
  • 홀터 심전도, 패치형 심전도는 1일에서 2-3주까지 심전도를 기록하며, 삽입형 루프 레코더의 경우 수년간 심전도를 기록할 수 있습니다.
  • 병원 밖에서 갑자기 발생하는 부정맥을 기록하고 진단하는 데 중요한 검사입니다.

보행형 심전도의 종류

병동 원격 심전도
Telemetry monitoring
병동 원격 심전도
Stroke unit/in hospital telemetry monitoring
홀터 심전도
Holter monitoring
홀터 심전도
Long-term Holter
패치형 심전도
Patch ECG
패치형 심전도
1-2 week continuous ECG patches
삽입형 루프 레코더
Implantable cardiac monitor
삽입형 루프 레코더
Implantable cardiac monitors
스마트워치 심전도
Smartwatch ECG
스마트워치 심전도
Intermittent smartwatch ECG initiated by semi-continuous photoplethysmogram with prompt notfication of irregular rhythm or symptoms

출처: 2020년 유럽 심장학회 (ESC) 심방세동 가이드라인

운동 부하 심전도 (Exercise ECG)
  • 운동 부하 심전도는 운동 중 심장에 최대로 부하를 주었을때 심장의 반응 (혈압, 맥박, 심전도, 산소포화도 등)을 관찰 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 모든 부정맥 환자에서 시행되지는 않으나, 운동시 발생할 수 있는 부정맥이 의심되는 경우, 다른 심장 질환에 대한 검사가 필요한 경우 시행합니다.
  • 검사실에서 런닝머신을 타면서 심전도를 기록합니다.
  • 약 30~60분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운동 부하 심전도
전기생리학 검사 (Electrophysiology study)
  • 전기생리학 검사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확인하기 위한 침습적 검사로, 대퇴정맥을 통하여 심장내에 카테터를 삽입하게 됩니다.
  • 심장을 자극하여 부정맥을 유도하기도 하고, 부정맥이 진단되면 부정맥을 없애는 치료 (전극 도자 절제술)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각성 상태에서 검사를 진행하나, 일부 수면으로 검사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 입원하여 검사가 필요하며, 주로 2~3일 정도 입원하게 됩니다.
  • 검사 시행후에는 최소 3-4시간 동안 대퇴정맥 부위의 지혈을 하게 되며 절대 안정을 요합니다.
  • 전기생리학 검사는 일반적으로 매우 안전한 검사이나, 드물게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시술 부위 혈종/혈관 손상, 감염, 뇌경색).
전기생리학 검사
기립 경사도 검사 (Tilt table test)
  • 기립경사도 검사는 주로 실신이나 어지러움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시행하게 됩니다.
  • 누워 있는 상태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각도로 침대를 올리고, 약물을 주입하며 전신 반응을 관찰 합니다.
  • 검사실에서 시행하며, 약 90~120분의 시간이 소요 됩니다.
기립 경사도 검사 (Tilt table test)
부정맥의 진단 II

부정맥이 진단되면 단순히 부정맥 자체만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관련되어 있는 심장 질환에 대한 정밀 검사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부정맥의 빈도, 증상의 강도에 대한 조절과 더불어 연관 심장 질환에 대한 검사 및 관리가 필요합니다.

부정맥의 진단

경식도 심장초음파 (Transoesophageal echocardiography)

위 내시경과 비슷한 내시경 초음파가 입을 통해 식도에 들어가서 진행되며, 주로 심방세동 환자에서 심장내 혈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합니다. 최대 90분까지 소요될 수 있으며, 대부분 수면으로 진행합니다.

경흉부 심장초음파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

가장 일반적인 심장초음파의 방법으로 갈비뼈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심장의 모양, 크기, 기능을 검사합니다. 약 40~60분간 소요 되며, 다음과 같은 심장 질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선천성 심기형, 심근병증, 판막 질환, 심낭 질환, 심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