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맥치료
심장재활치료
심장 질환을 가진 환자의 심폐 운동 능력 향상을 위한 개별화된 운동 치료 및 위험인자 관리 프로그램으로, 심폐기능 향상과 삶의 질을 높여 정상적인 일상생활 및 사회활동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회복하는 것입니다.
운동치료

운동처방
심폐기능 운동부하 검사를 통해서 심장질환의 운동처방을 위한 위험정도를 파악한 후 운동강도, 운동횟수, 운동시간, 운동형태, 및 운동진행정도를 정합니다. 심장재활 운동의 경우 크게 유산소 운동과 근력운동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유산소 운동은 심장재활 운동시 가장 중요한 운동으로, 심폐기능을 향상시키고,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심장 질환의 위험인자를 잘 관리하고 개선시킬 수 있습니다. 평지나 트레드밀을 이용한 걷기, 고정식 자전거, 스텝퍼, 상지 에르고미터 등의 종류가 있으며, 일주일에 3~5회 정도 시행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근력운동을 통해서는 근력과 근지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맨손운동이나 아령, 탄성밴드를 이용하는 운동에서부터 시작하여 근력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운동할 수 있습니다. 근력운동은 일주일에 2~3회 정도 시행하도록 권고합니다. 적절한 시기에 유산소 운동과 점진적인 근력강화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심장질환 환자에서 운동 시 주의할 사항
운동 지침
- 식사 2시간 후에 운동을 시작합니다.
- 준비운동과 마무리운동을 꼭 시행하여 신체가 운동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운동할 때 일반적으로 지켜야하는 원칙들을 반드시 준수하며, 신체에 이상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운동을 중단하여야 합니다.
- 심장질환에 따라서 운동 자체를 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으므로 반드시 심장재활 전문의와 상의해야 합니다.
-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흡연 등 심장질환의 위험인자에 대한 조절을 병행하면서 운동을 해야 효과적입니다.
운동 중단 시점
- 조이는 듯한 심한 가슴 통증 발생 시
- 통증이 좌측 어깨, 목, 턱 아래까지 퍼져 나가며 심해질 때
- 정신혼란이나 어지러움을 느낄 때
- 심하게 피로하거나 숨이 많이 찰 때
- 식은 땀이 날 때
-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고 가슴이 두근거릴 때
- 속이 메스껍거나 토할 것 같을 때
- 운동 시 혈압이나 심박수가 내려가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