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재시술

전극도자절제술

도자절제술이 필요한 경우는?

도자절제술은 보통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다양한 부정맥 (상심실성 빈맥, 심방세동, 심실 조기수축, 심실빈맥)에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도자절제술의 목표는 불규칙한 심장 박동을 유발하는 심장 부위를 파괴하거나 상처를 입혀 정상적인 심장 박동을 회복하는 것입니다. 성공적인 시술이 이루어질 경우, 약물 없이도 부정맥이 완치될 수 있습니다.

도자절제술이란?

도자절제술은 비정상적인 조직에 극도로 높은 온도 혹은 낮은 온도를 전달하여 절제하는 시술을 이릅니다. 극도로 높은 온도를 이용한 시술은 고주파 에너지 (radiogfequency)를 기반한 카테타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이들은 최소 침습적 수술이므로 개복 수술 없이 시행될 수 있습니다.

고주파 에너지 카테터, 냉각풍선 카테터
시술의 과정
  • 가장 먼저, 심전도 및 심장 초음파를 이용한 부정맥의 유형과 심장 구조에 대한 초기 평가를 진행합니다.
  • 준비 단계:
    • 수술 전에는 일반적으로 금식을 하게 되며, 필요한 경우 특정 약물을 중지합니다.
    • 필요에 따라 마취가 필요한 경우 마취 전 검사를 시행합니다.
  • 도관 삽입 및 카테터 삽입
    • 시술의는 주로 대퇴정맥이나 경정맥을 통해 도관을 삽입합니다.
    • 도관을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카테터를 심장에 위치시킵니다.
  • 도자절제술:
    • 고주파 에너지 혹은 냉각 풍선을 이용하여 도자절제술을 시행합니다.
  • 회복 및 후속 치료
    • 부정맥이 성공적으로 시술되었는지 전기생리검사를 통하여 확인합니다.
    • 시술이 종료된 후, 병실 혹은 중환자실에서 집중 모니터링을 시행합니다.
도자절제술의 성공률은 어떻게 되나요?

성공적인 도자절제술은 투약 없이도 부정맥의 재발에서 환자를 자유롭게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모든 부정맥의 시술에서 100%의 완치율을 가져오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도자절제술의 성공률은 부정맥의 종류 마다 다릅니다. (완치율: 상심실성 빈맥 – 98~99%; 발작성 심방세동 – 85 ~ 90% (1년 성공률); 지속성 심방세동 – 20~65% (1년 성공률); 심실성 빈맥: 20 ~ 91%). 또한 도자절제술은 환자 요인 (부정맥의 지속 기간, 심장의 구조 및 기능) 및 시술 의사의 숙련도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어 기관마다 시술 성공률이 천차만별로 다릅니다.

심방세동 도자절제술: 냉각풍선 절제술 vs. 고주파 절제술?

반면, 극도로 낮은 온도를 이용한 시술은 냉각풍선 (cryoablation)을 이용하여 이루어집니다. 냉각절제술은 보통 심방세동 시술에 이용되는데, 좌심방에 연결된 폐정맥에 냉각풍선 도자를 밀착시킨 후 영하 40도 이하로 냉각시켜 폐정맥 입구의 동상을 일으키는 시술로서, 각각의 폐정맥을 도장 찍듯이 한번에 절제하는 시술입니다. 반면 고주파절제술은 한점 한점 고주파 에너지를 폐정맥에 방출하는 시술입니다.

풍선냉각도자 절제술의 경우 시술 시간이 매우 빠르지만, 폐정맥의 형태 및 심방의 크기에 따라 시술 성공률에 영향을 받습니다. 반면 고주파 전극도자절제술의 경우, 한점한점 에너지가 들어가기 때문에 시술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고, 시술의의 경험에 따라 시술 성공률이 다를 수 있습니다.

도자절제술. A. 고주파전극도자 절제술, B. 풍선냉각도자 절제술
심방세동 도자절제술에 적합한 환자가 따로 있나요?

심방세동 도자절제술은 일차 적응증은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증상을 동반한 심방세동입니다. 또한 심방세동 도자절제술은 심방세동의 유병기간이 짧고 심방의 구조적 변성이 적은 경우에 시술 성공률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심방세동 도자절제술의 심한 부작용은 없나요?

도자절제술로 인한 심한 부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심장천공
    • 심장천공은 심방중격천자 과정 혹은 고주파전극도자절제술 도중에 발생될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심장내 초음파를 이용하면 심방중격천자로 인한 심장천공의 발생을 상당부분 줄일 수 있습니다.
    • 또한 구조파전극도자절제술은 압력 감시를 제공하는 카테터의 보급으로 심장천공의 발생율이 매우 줄고 있습니다.
  • 심방-식도 천공
    • 시술이 주로 이루어지는 뒤쪽에는 식도가 바로 붙어서 지나는데, 심방 안쪽에서 가한 고주파나 냉각치료에 식도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식도 손상이 진행되어 식도 심방루가 발생되면 전신적인 폐혈증과 색전증이 동시에 발생되어 조기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환자가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발생 가능성이 0.5% 이내로 매우 낮습니다. 또한 식도에 온도계를 넣어서 면밀히 모니터링을 하면 심방-식도 천공의 발생율을 더 낮출 수 있습니다.
  • 뇌경색
    • 도자절제술로 인한 신경학적 손상을 동반하는 뇌경색은 0.15% 확률로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시술 도중 항응고제 (헤파린)이 고용량으로 투약됩니다. 하지만 시술 후 뇌경색이 확인될 경우 신경과의 협조하에 뇌혈관계 시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횡경막 손상
    • 심장의 양측으로 횡경막의 운동을 관장하는 신경이 지나는데, 냉각풍선도자 절제술의 도중에 냉각풍선이 폐정맥에 깊숙히 들어갈 경우 횡경막신경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발생률은 대략 1% 정도로 보고되나, 대부분의 경우 자연관해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