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맥이해
부정맥 상담 검색
항부정맥약으로 완치가 되는지요
김남선
|Views 1006
[질문]
안녕하세요 저는 대구에 사는 54세이며 혈압이 약간 높은 남자입니다. 지난 2월 20일, 부정맥(심방세동)으로 판정받았습니다. 그후 2얼 26일, 3월 3일, 3월 7일, 비슷한 증세가 나타났지만 그 정도는 첫번째보다 약했습니다. 3월 7일부터 3월11일까지 근처개인병원에서 24시간 홀터검사, 운동부하검사, 심전도 검사 등의 검사를 했으나 부정맥이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3월11일 병원에서 혈압약, 항부정맥약(탬보코정), 와파린정 등을 처방받아 지금까지 복용하고 있으며, 그동안 부정맥은 한번도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참고로 저는 건강에 좋다하여 자석벨트를 2005년4월부터 2006년 3월7일까지 손목에 착용하였으며, 3월7일 벨트를 제거하였더니 아무약도 복용하지 않은 3월11일까지 부정맥이 나타나지 않음). 제의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자석벨트가 심방세동을 유발할 수 있는지요? 2. 심방세동을 항부정맥약으로도 완치시킬 수 있는지요, 완치할 할 수 있다면 얼마동안 약을 복용해야 하는 지요? 3. 항부정맥약이 단순히 부정맥 완화제라면 하루 빨리 전극도자절제술을 받는 것이 빠른 치료라고 판단되는 데 저의 판단이 옳은지요? 4. 전극도자 절제술을 받기전에 부정맥이 있는지를 확실하게 검사하는지요? 5. 전극도자 절제술 후에도 약을 계속복용해야 하는지요? 너무 많은 질문이지만 너그럽게 이해하시고 도와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저는 제가진짜 부정맥환자인지에 대해서도 의심이 되고 있습니다.[답변]
자석과 부정맥의 발현과는 아직 알려진 바가 전혀 없습니다. 효과적인 항부정맥제로 심방 세동의 발생 빈도와 증상를 현저히 줄일수 있습니다. 약제를 계속 복용하지 않아 이전처럼 심방 세동이 자주 나타난다면 전극도자 절제술을 고려하게 됩니다. 급성 심방 세동의 일부는 발생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하게 되면 차후에도 약을 안 먹어도 거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기도 하므로 약제를 서서히 줄여 나가며 증상 재발의 유무를 관찰할 필요가 있습니다. 전극도자 절제술 당시 심방 세동을 반드시 확인할 필요는 없습니다. 전극도자 절제술은 1년이내에 발생한 심방 세동의 경우 완치(약을 전혀 안먹어도 되는 상태)의 가능성이 약 90%에 육박합니다. ---------- ☞ 김남선님의 글 ---------- > 안녕하세요 > 저는 대구에 사는 54세이며 혈압이 약간 높은 남자입니다. > 지난 2월 20일, 부정맥(심방세동)으로 판정받았습니다. 그후 2얼 26일, 3월 3일, 3월 7일, 비슷한 증세가 나타났지만 그 정도는 첫번째보다 약했습니다. > 3월 7일부터 3월11일까지 근처개인병원에서 24시간 홀터검사, 운동부하검사, 심전도 검사 등의 검사를 했으나 부정맥이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 3월11일 병원에서 혈압약, 항부정맥약(탬보코정), 와파린정 등을 처방받아 지금까지 복용하고 있으며, 그동안 부정맥은 한번도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 (참고로 저는 건강에 좋다하여 자석벨트를 2005년4월부터 2006년 3월7일까지 손목에 착용하였으며, 3월7일 벨트를 제거하였더니 아무약도 복용하지 않은 3월11일까지 부정맥이 나타나지 않음). > > 제의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자석벨트가 심방세동을 유발할 수 있는지요? > 2. 심방세동을 항부정맥약으로도 완치시킬 수 있는지요, 완치할 할 수 있다면 얼마동안 약을 복용해야 하는 지요? > 3. 항부정맥약이 단순히 부정맥 완화제라면 하루 빨리 전극도자절제술을 받는 것이 빠른 치료라고 판단되는 데 저의 판단이 옳은지요? > 4. 전극도자 절제술을 받기전에 부정맥이 있는지를 확실하게 검사하는지요? > 5. 전극도자 절제술 후에도 약을 계속복용해야 하는지요? > > 너무 많은 질문이지만 너그럽게 이해하시고 도와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저는 제가진짜 부정맥환자인지에 대해서도 의심이 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