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맥이해
부정맥 상담 검색
전극도자 절제술
김선기
|Views 963
[질문]
안녕하세요 저는 심방세동 부정맥 환자입니다. 1.전기생리적 검사(EPS) 전극도자 절제술을 위한 검사로 알고 있는 데 만약 그 검사후 부정맥이 발견되지 않으면, 전극도자 절제술을 하지 않는지요? 2. 전극도자 절제술을 받고나면 부작용은 무엇이며, 재발의 정도는 어느정도인지요? 3. 심방세동 증세가 있으면 완치를 위해 꼭 전극도자 절제술을 해야하는 지요? 4. 아니면 어느정도의 증세가 있을 때 절제술을 해야하는 지요? 5.시술을 위해 몇일정도 입원을 해야하는 지요?[답변]
안녕하십니까? 우선 환자께서 현재 심방세동이 계속 지속되고 있는지의 여부가 중요합니다. 발작성 심방세동 (paroxysmal atrial fibrillation) 의 경우와 지속적 심방세동 (persistent atrial fibrillation) 의 경우가 치료과정이나 예후면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1번 질문의 경우, 만약 어떤 환자가 빈맥에 의한 증상이 있는데, 심전도 등에서 확인이 안된 경우, 전기생리학검사를 통해 유발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발작성 심방세동이 확진된 사람(심전도, 24시간 Holter검사 등)이나, 심방세동이 현재 계속되고있는 경우, 고주파를 이용한 전극도자 절제술이 바로 치료과정으로 이해하시면 되며, 부정맥의 발견을 위한 전기생리학검사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2번질문에 대해서, 전극도자 절제술의 경우 합병증은 일반적으로 경미합니다. 재발에 대해서는 심방세동의 발현기간이나, 타입(발작성 vs 지속성 및 만성), 심방의 크기 등에 의해 차이가 있으니, 자세한 사항은 치료 전, 외래를 방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적으로, 발작성심방세동의 경우, 완치율이 매우 높으며, 최근엔 지속성 심방세동 또한 그 치료성적이 매우 좋아지고 있습니다. 3-5번 질문에 대해선, 심방세동에 대한 전극도자 절제술의 경우, 입원기간은 4-5일 정도입니다. 전극도자 절제술의 치료여부를 결정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환자의 증상의 정도, 항부정맥제에 대한 반응 등, 여러 가지 고려할 사항이 있으며, 환자의 여러가지 임상적인 자료를 통해 어떤 치료가 환자에게 가장 유익할 것인 가를 결정해야 하므로,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저희 부정맥 외래를 방문하시어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 김선기님의 글 ---------- > 안녕하세요 > > 저는 심방세동 부정맥 환자입니다. > 1.전기생리적 검사(EPS) 전극도자 절제술을 위한 검사로 알고 있는 데 만약 > 그 검사후 부정맥이 발견되지 않으면, 전극도자 절제술을 하지 않는지요? > > 2. 전극도자 절제술을 받고나면 부작용은 무엇이며, 재발의 정도는 어느정도인지요? > > 3. 심방세동 증세가 있으면 완치를 위해 꼭 전극도자 절제술을 해야하는 지요? > 4. 아니면 어느정도의 증세가 있을 때 절제술을 해야하는 지요? > 5.시술을 위해 몇일정도 입원을 해야하는 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