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맥이해

부정맥 상담 검색

발작성 심방세동 ..

이성훈

Views 698

[질문]

안녕하십니까

저는 51세 남성이고, 몇년 전부터 심장이 안좋아서 지방의 한 의원에서 진료를 받다가, 

1년전 서울의 대학병원으로 가서 여러 검사 후, 발작성 심방세동이란 진단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여러가지 약을 처방받아 복용한 직후, 다시 각종 검사를 하니 정상으로 나왔습니다.

의사선생님은 더이상 대학병원에서 진료받을 필요 없다고 하시며 약을 처방해 주시고는 다시 지

방으로 내려가라고 하더군요. 아마도 약물에 잘 반응을 해서

다른 치료(전극도자술)는 안해도 되겠다고 생각하신 모양입니다.


그 후 한동안은 약을 복용하다가, 최근들어 몇개월간은 약을 복용하지 않았습니다.

이유는 약물을 많이 복용하면 몸에 좋을 것이 없을 것이란 생각때문입니다. 최대한 약물 도움

없이 정상적인 생활을 해보겠다는 생각에서 였습니다.

약 복용을 중지하니깐 증상이 다시 나타나는군요.


 

질문1) 아무리 약물반응이 잘 나타난다 하더라도 약 복용을 평생 할 바에야

   전극도자술을 받고 완치되는 것이 더 좋은 것 아닌가요?


질문2)약물을 평생 복용하면서 생길 수 있는 약물로 인한 부작용과,

    약을 먹지 않아서 생길 수 있는 심방세동의 부작용(뇌졸중)을 비교해 보았을 때,

  어느쪽 부작용이 더 위험하며 발생확률이 더 높은가요?


질문3) 발작성 심방세동이 응급상황(급사)등의 위험한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까? 


 

 

교수님 감사드립니다. 안녕히 계십시오.


           

file_download

[답변]

1. 현재는, 약물에 반응하지 않거나 부작용등으로 약제 복용이 불가능한 경우 또는 빈맥-서맥 증후군이 있는 경우 전극도자절제술의 적응이 됩니다. 2. 약제에 의한 위험한 부작용도 발생가능하지만 드문 경우입니다. 심방세동 치료 안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뇌졸중등의 합병증도 매우 위험한 경우입니다. 3. 다른 내과적 질환이나 심장질환 또는 동반된 다른 부정맥등이 없다면 발작성심방세동 자체 만으로 급사하는 경우는 매우 드문 경우입니다. ---------- ☞ 이성훈님의 글 ---------- >

안녕하십니까

>

저는 51세 남성이고, 몇년 전부터 심장이 안좋아서 지방의 한 의원에서 진료를 받다가, 

>

1년전 서울의 대학병원으로 가서 여러 검사 후, 발작성 심방세동이란 진단을 받았습니다.

>

그래서 여러가지 약을 처방받아 복용한 직후, 다시 각종 검사를 하니 정상으로 나왔습니다.

>

의사선생님은 더이상 대학병원에서 진료받을 필요 없다고 하시며 약을 처방해 주시고는 다시 지

>

방으로 내려가라고 하더군요. 아마도 약물에 잘 반응을 해서

>

다른 치료(전극도자술)는 안해도 되겠다고 생각하신 모양입니다.

>

그 후 한동안은 약을 복용하다가, 최근들어 몇개월간은 약을 복용하지 않았습니다.

>

이유는 약물을 많이 복용하면 몸에 좋을 것이 없을 것이란 생각때문입니다. 최대한 약물 도움

>

없이 정상적인 생활을 해보겠다는 생각에서 였습니다.

>

약 복용을 중지하니깐 증상이 다시 나타나는군요.

>

 

>

질문1) 아무리 약물반응이 잘 나타난다 하더라도 약 복용을 평생 할 바에야

>

   전극도자술을 받고 완치되는 것이 더 좋은 것 아닌가요?

>

질문2)약물을 평생 복용하면서 생길 수 있는 약물로 인한 부작용과,

>

    약을 먹지 않아서 생길 수 있는 심방세동의 부작용(뇌졸중)을 비교해 보았을 때,

>

  어느쪽 부작용이 더 위험하며 발생확률이 더 높은가요?

>

질문3) 발작성 심방세동이 응급상황(급사)등의 위험한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까? 

>

 

>

 

>

교수님 감사드립니다. 안녕히 계십시오.

>

           

2008.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