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맥이해
부정맥 상담 검색
조기수축관련 질문
최성우
|Views 515
[질문]
3개월 전부터 증상이 있어 24시간 홀터, 운동부하검사, 흉부 X선 등 검사결과
조기수축이 있다고 진단을 받았습니다.
별다른 이상이 없이 일반적인 증상이니 넘어가라고 하는데
조기수축이 24시간 홀터당시 몇번 없었는데 요즘들어 횟수가 많이 늘어났습니다.
예전에는 하루에 한두번이었는데 요즘은 아침에 일어나서 거의 계속 2 ~ 3시간 지속되고
잠자기전에 1 ~ 2시간 지속됩니다.
조기수축이 다른 심장질환이 없으면 그냥 관찰한다고 하던데
어느정도까지 횟수나 증상이 늘어나면 문제가 되는 건지요?
즉, 다른 심장병이나 심각한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요즘 심할때는 1분에 4 ~ 5번도 생깁니다. 그리고 지속시간도 1 ~ 2시간이 넘고
예전에는 1주일에 하루나 나타나다가 없어졌습니다.
조기수축으로 인한 흉통이나 어지러움은 없으나 1 ~ 2시간 증상이 있은 후에는
속이 더부룩하고 어께가 뻐근하고 매우 피로합니다.
그냥 지켜봐야 하는 것이 맞는지?
활동을 하고 있으면 증상이 없다고 휴식을 취하거나 사무실에 앉아서 근무할때
잠자기 전 等 편안하게 있다고 생각될 때 더 심해집니다.
이유가 뭔지요?
조기수축을 줄여주는 약제는 없는지? 아님 운동같은 것을 강도를 높이는 것은 어떤지요?
(운동은 편안하게 걷는 운동을 매일 30분에서 1시간정도 합니다.)
[답변]
심방조기박동, 심실조기수축이 있습니다. 말씀하시는 것으로 보아서는 심실조기수축으로 생각되어집니다. 우선 증상의 정도와 빈도등이 가장 중요하겠으며 동반된 심장질환이나 심장기능 정도등 여러가지 인자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치료 방법을 결정합니다. 동반된 심장질환이 없는 경우 증상이 있을 때 우선 생활습관교정등을 해보고 약물치료를 고려하기도 합니다. 증상이 심하고 약물에 반응이 없는 경우나 심실조기수축으로 심장기능이 감소되는 경우엔 완치를 목적으로 전극도자절제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증상이 꼐속 있으시다면 전문의의 진료를 다시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 ☞ 최성우님의 글 ---------- >3개월 전부터 증상이 있어 24시간 홀터, 운동부하검사, 흉부 X선 등 검사결과
>조기수축이 있다고 진단을 받았습니다.
>별다른 이상이 없이 일반적인 증상이니 넘어가라고 하는데
>조기수축이 24시간 홀터당시 몇번 없었는데 요즘들어 횟수가 많이 늘어났습니다.
>예전에는 하루에 한두번이었는데 요즘은 아침에 일어나서 거의 계속 2 ~ 3시간 지속되고
>잠자기전에 1 ~ 2시간 지속됩니다.
>조기수축이 다른 심장질환이 없으면 그냥 관찰한다고 하던데
>어느정도까지 횟수나 증상이 늘어나면 문제가 되는 건지요?
>>
즉, 다른 심장병이나 심각한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요즘 심할때는 1분에 4 ~ 5번도 생깁니다. 그리고 지속시간도 1 ~ 2시간이 넘고
>예전에는 1주일에 하루나 나타나다가 없어졌습니다.
>>
조기수축으로 인한 흉통이나 어지러움은 없으나 1 ~ 2시간 증상이 있은 후에는
>속이 더부룩하고 어께가 뻐근하고 매우 피로합니다.
>그냥 지켜봐야 하는 것이 맞는지?
>활동을 하고 있으면 증상이 없다고 휴식을 취하거나 사무실에 앉아서 근무할때
>잠자기 전 等 편안하게 있다고 생각될 때 더 심해집니다.
>이유가 뭔지요?
>>
조기수축을 줄여주는 약제는 없는지? 아님 운동같은 것을 강도를 높이는 것은 어떤지요?
>(운동은 편안하게 걷는 운동을 매일 30분에서 1시간정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