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맥이해
부정맥 상담 검색
심방세동 환자인테 답변 부탁드립니다!
박정하
|Views 1134
[질문]
안녕하세요.
김영훈 교수님.
저희 어머니(51세)께서 오래전부터 가슴이 심하게 두근거리고 기운이 없고, 이런 증상이 있으셨는데
심하게 일하거나 하실때만 그런 증상이 나타나고 평소에는 나타나지 않아서
즉 불규칙적으로 간헐적으로 나타났어요. 그래서 심전도 검사를 매년 함에도 불구하고
부정맥을 발견하지 못하시고 지난 세월을 보내셨는데
2010년 10월 경에 심전도 검사 중 나타나서
대전 을지대병원에서 진찰 받고 현재 치료 중인데요..
심방세동이라고 하더군요.
약물 치료를 하고 계신데,
처음 약물치료 접근은 심방세동 자체를 나아지게 하기 위한 약을 썼는데.
약물치료 후 잠시 돌아왔다가 약을 잘 못챙겨 드시는 바람에
다시 심방세동 증상이 돌아왔어요.
약처방을 2배정도로 쓰다가..
잘 안돼서 빈맥이 있으셔서 지금은 맥박을 조절하는 약을 드시거든요
코다론정200mg 이랑 아스피린을 드시는데..
현재는 맥박 수 조절이 되고 있다고 진단도 받았어요
저는 이상하게 지금 의사선생님에게 신뢰도가 안느껴져서요..
지금 병원을 바꿔서 다른 전문의를 만날까 하는데 김영훈 교수님을 알게 되었습니다.
수술적 방법으로도 치료가 가능하다는데
나을수 있다면 해보고 싶거든요... 근데 제가 의사가 아니니깐 약을 먹는게 나은지
수술이 나은지 모르겠구요,,,
저희 어머니 상태로 약을 계속 드시면서 조절하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수술이 나을지,..
약을 먹게되면 평생 먹는다고 하던데 맞나요?? 약을 먹어서 완치도 가능한가요?
아스피린과 같은 색전이나 혈전을 막기위한 약을 먹으면서 맥박수를 조절하면
뇌졸증이나 뇌색전 같은것이 안걸리나요?
아스피린 약을 먹어서 색전과 혈전을 방지하는데도 혈액 덩어리로 인해 뇌혈관이 막혀서 뇌졸증이 걸리나요?
어머니가 너무 걱정되요. ㅜㅜ
[답변]
약제에 의해 조절이 안되는 심방세동은 전극도자절제술의 적응증이 됩니다. 심방세동 환자에서의 뇌경색은 나이, 성별, 당뇨, 고혈압, 심부전, 이전 뇌경색병력, 혈관질환등 여러 위험 요인에 따라 그 위험도가 다릅니다. ---------- ☞ 박정하님의 글 ---------- >안녕하세요.
>김영훈 교수님.
>>
저희 어머니(51세)께서 오래전부터 가슴이 심하게 두근거리고 기운이 없고, 이런 증상이 있으셨는데
>심하게 일하거나 하실때만 그런 증상이 나타나고 평소에는 나타나지 않아서
>>
즉 불규칙적으로 간헐적으로 나타났어요. 그래서 심전도 검사를 매년 함에도 불구하고
>부정맥을 발견하지 못하시고 지난 세월을 보내셨는데
>>
2010년 10월 경에 심전도 검사 중 나타나서
>대전 을지대병원에서 진찰 받고 현재 치료 중인데요..
>>
심방세동이라고 하더군요.
>>
약물 치료를 하고 계신데,
>처음 약물치료 접근은 심방세동 자체를 나아지게 하기 위한 약을 썼는데.
>약물치료 후 잠시 돌아왔다가 약을 잘 못챙겨 드시는 바람에
>다시 심방세동 증상이 돌아왔어요.
>약처방을 2배정도로 쓰다가..
>잘 안돼서 빈맥이 있으셔서 지금은 맥박을 조절하는 약을 드시거든요
>>
코다론정200mg 이랑 아스피린을 드시는데..
>현재는 맥박 수 조절이 되고 있다고 진단도 받았어요
>>
저는 이상하게 지금 의사선생님에게 신뢰도가 안느껴져서요..
>>
지금 병원을 바꿔서 다른 전문의를 만날까 하는데 김영훈 교수님을 알게 되었습니다.
>수술적 방법으로도 치료가 가능하다는데
>나을수 있다면 해보고 싶거든요... 근데 제가 의사가 아니니깐 약을 먹는게 나은지
>수술이 나은지 모르겠구요,,,
>저희 어머니 상태로 약을 계속 드시면서 조절하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수술이 나을지,..
>약을 먹게되면 평생 먹는다고 하던데 맞나요?? 약을 먹어서 완치도 가능한가요?
>>
아스피린과 같은 색전이나 혈전을 막기위한 약을 먹으면서 맥박수를 조절하면
>뇌졸증이나 뇌색전 같은것이 안걸리나요?
>아스피린 약을 먹어서 색전과 혈전을 방지하는데도 혈액 덩어리로 인해 뇌혈관이 막혀서 뇌졸증이 걸리나요?
>>
어머니가 너무 걱정되요. 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