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맥이해

부정맥 상담 검색

부정맥 증상_진찰과 치료 방법 문의 (중국 상해)

정관수

Views 748

[질문]

안녕하십니까?

먼저 증상에 대해서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1) 첫번째 빈맥 증상은 2017년 2월 18일 오후에 있었습니다.

     갑자기 맥박이 빨리 뛰는 것이 느껴져서 직접 맥박을 체크 하였는데, 120회/분 정도 였습니다.

     누워서 휴식을 취한 이후 몇분만에 정상으로 회복 되었습니다.

     의심되는 상황은 

     아침 공복에 커피(아메리카노) 한잔 + 10시경에 커피 한잔과 와플 + 12:30분경 커피 한잔 + 1시간 정도 걷기 운동

     --- 그후 2시간 후 증상발생

     그리고 그 당시 2주정도 회사에서 매일 보이차를 마셨습니다. ( 작은 주전자로 평균 2개 정도, 매일 )

(2) 두번째 빈맥 증상은 그다음날인 2017년 2월 19일 오전 10시경에 왔습니다.

     그날은 아무것도 먹거나 마시지 않고, 아침 외출 후에 옷을 갈아 입고 나서 증상이 왔습니다.

     약간 가슴이 답답한 느낌이 있었고,

     가슴이 쿵쿵쿵 뛰는 느낌이 있어서 맥박을 확인해 보니 150회 정도 였습니다. (애플 워치 심박수 확인)

     누워서 잠시 쉬는데, 진정이 되지 않고, 계속 가슴이 불편해서 급하게 병원에 갔습니다.

     심박수가 분당 150-160회 정도로 40분정도 지속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병원 도착 5분 전쯤 맥박이 정상으로 회복이 되었습니다.

     심전도 검사와 피 검사를 했지만 모두 정상으로 나왔고, 

     의사는 이후에 증상이 있으면 제일 가까운 병원에 가서 심전도 검사를 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올수 있다고 하면서 ...    

     혈압은 정상이었고, 맥박은 규칙적으로 뛰었습니다.

(3) 세번째 빈맥 증상은 2017년 3월 16일 오후에 있었습니다.

     심박수는 최대 208 ~ 150회 정도로 15분 정도 지속 되었는데, 병원으로 가는 도중 정상으로

     회복되어서 심전도 검사를 하지 못했습니다.

     의심되는 상황은 전날인 3월 15일 비즈니스 관련 저녁식사때 녹차를 5잔 내외 마셨고,

     3월 16일 점심때 콜라 한캔, 점심 후에 우롱차 2잔 정도 마신후에  2시간쯤 지난후에 증세가 있었습니다.

     (2월 19일 이후 그동안 커피, 차, 콜라, 초코렛등 카페인 성분의 것은 일제 마시거나 먹지 않았고,

      평소에도 술는 전혀 마시지 않습니다.)

     심박수가 이전에는 평균 80회 내였는데, 이번 증상 이후에는 60회 정도로 낮아질 때도 있고,

     의식해서 인지 모르겠지만 계속 가슴이 불편한 느낌이 조금 있습니다.

     (추가:3/27일 현재 계속해서 가슴이 답답한 느낌과 불편한 느낌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현재 고지혈증으로 약을 복용 중에 있고, 49세 남자입니다.


문의를 드리고 싶은 것은

위와 같은 증상이 있을 때, 어떻게 진단 및 치료를 해야 하는지요?

제가 중국 상해에서 주재원으로 근무 중인데, 회사에서 증상이 발생했을때 가까운 곳에 심전도 검사를

할 수 있는 병원이 없어서 고민입니다.

(1)위와 같은 증상을 보았을 때 한국에 바로 들어가서 검사 및 치료를 해야 하는 응급 상황인지?

    -- 가능하면 한국에 들어가서 검사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2)인터넷에 보니까 휴대용 심전도 검사기가 있던데, 그것을 사용해서 검사를 해도 진단이 가능한지요?

(3)한국에 들어가서 고대병원에서 바로 검사가 가능한지요? 

    아니면 기다려야 한다면 언제쯤 가능하고,  검사등 기간은 몇일이나 필요한지요?

    매년 속편한내과에서 종합건강검진을 받고 있는데, 병원에서는 확인서? 발급은 가능하다고 합니다.

(4)이런 상태에서 운동은 해도 괜찮은지요? ( 런닝머쉰에서 걷기 운동 1시간 정도)

(5)기타 참고가 될 만한 조언이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수고에 감사드립니다. 




     

file_download

[답변]


일단 휴대용 심전도를 이용해서 증상이 있을 때 심전도 검사를 한 후

병원에 내원하여 진료를 받으시는 것이 것이 가장 좋겠습니다.


증상이 있을 때 시행한 심전도가 없으면 확진이 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정확한 정보를 드리기 어렵습니다.


운동이 증상을 악화시키는 것이 아니라면 해도 무방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