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맥이해

부정맥 상담 검색

심실조기수축

신혜영

Views 658

[질문]

안녕하세요..

 

지난번 답벼의 도움으로 24시간 홀터 검사를 6월에 다시 하였습니다..

결과는 22.5%로 나왔습니다.

당시에 담당의가 세미나 가시는 관계로 레지던트 선생님에게 결과를 들었는데 심장 두근거림을 거의 느끼지 못 하면 

약물 복용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셨어요

지금까지 약을 먹지 않고 있는데 ....그래도 하루에 한번정도 두근거림을 느낀다면 약을 먹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두근거림 상관없이 약을 계속 먹어야 할까요??

그리고 전극 도자술은 저 같은 경우엔 반듯이 해야할까요??

 

감사합니다.

file_download

[답변]

안녕하세요, 저희 부정맥센터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심실 조기 수축이 있으신 것 같습니다. 

 

빈도는 22.5% 정도 되시는 것 같구요.

 

심실 조기 수축의 일반적인 치료 적응증 및 보험 기준은

 

1. 증상이 동반되었을 경우

2. 약물 치료에도 불구하고 심실 조기 수축의 빈도가 15% 이상일 경우

3. 심실 조기 수축으로 인하여 좌심실 기능이 저하되었을 경우

 

입니다. 만약 증상도 전혀 없고 좌심실 기능도 보존이 되어 있다면 조금 더 경과를 보실 수도 있습니다. 

 

다만 증상이라는 것이 애매한 부분이 많고 사실은 증상이 있는데 여기에 익숙해져서 자각을 못하시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환자 선호도 및 시술 용이성 (심실 조기 수축이 발생하는 부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시술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최근에는 시술 도구들이 좋은 것들이 많이 나와서 이전보다 성적이 좋아지고 있고 이러한 점도 고려를 하게 됩니다. 

 

약물치료 역시 비슷한데요.. 증상이 없다면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도 있고 심실 조기 수축의 빈도를 줄이기 위하여 증상이 없더라고 소량 투약해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부디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김윤기 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