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맥이해

부정맥 상담 검색

맥 건너뜀 불안 긴장.

j.n

Views 1644

[질문]

안녕하세요? 20대 후반의 남성입니다.

맥이 건너 뛰는 증상 때문에 지방대학병원을 거쳐 부정맥 센터에 방문을 하였었고,
카테터를 넣어서 부정맥 유발검사까지 했었습니다.

결과는 apc vpc만 있었습니다.
기외수축이 너무 심하다고 생각해서 홀터검사를 몇번 했었으나, 빈도가 3퍼정도 였습니다.( 양성 부정맥만 나왔었습니다.)

최근에 불안과 긴장시 더 많은 건너뜀을 느끼고 또 맥을 짚었을 때 확인이 됩니다.

카테터를 넣어서 부정맥 유발검사를 한 후 당일 저녁인가 다음날인가 있다가 맥이 파르르? 떨리는 증상이 아주 짧게 2초 3초 정도 있었고( 엄청 빨리 뛴 느낌?).

웨이트 트레이닝 시 유독 가슴에 압박을 주며 상체운동할 때 한 두번 더 나타났었습니다.

두근- 두두- 근- 이렇게 건너뛰는 게 아닌 심장을 만졌을 때 타타타 이렇게 튄다고 해야 할까요 아주 짧은 순간 동안 그렇게 되었다가 다시 원상태로 뛰면서 건너뛰는 증상이 있었습니다.(혹시 이게 연속해서 조기수축이 3번일어나는 트리플렛인지요?)
 

너무 놀랐지만 너무 찰나의 순간이어서 기록을 하지 못했기에 그냥 묻어두고 살고 있습니다.(이거 때문에 불안시 맥이 건너 뛰면 극도로 불안을 느낄 때가 가끔 있습니다)



궁금한 점은 3가지 입니다.

하나는, 전기자극 및 약물로 유발검사 까지 했고, 또는 하면서 새로운 부정맥을 만들어 낼 수 있나요?
그리고 검사상 나타나지 않았지만 향 후 어떠한 원인으로 다른 부정맥이 생길 수 있나요?(당시 선생님은 검사상 이상 없으니 급사할 위험이 없다 안심해도 된다라고 하셨습니다- 몇년 전-)

그리고 두번째는 제가 근례에 운동하러 체육관을 가면서부터 운동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과 긴장을 느낍니다. 그런 상태에서 운동을 계속하면

악성 부정맥이 나타날 수 있나요? 마치 회사 면접볼 때 처럼 긴장되는 상황에서 운동을 시작할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땐 그냥 거의 앉아 있다가 옵니다. (심리적 불안감이 부정맥을 유발시키고 그게 혹 안좋은 결과를 유발시키는지요? 예를들어 폐쇄공포증 있는 사람이 엘리베이터에 갇히게 되면서 급격한 불안감을 느끼며 부정맥이 더 안 좋아지는 경우등에 관해서요) 


마지막은 기외수축 시 couplet이  생기는 건 다시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아봐야 하는건가요?

한번 건너 뛰고 다시 그다음 맥 뛰고 또 바로 건너뛰고 이러한 액션이 연속해서 10번 정도 일어난 적도 있는데(이단맥) 이러한 것은 치료햐지 않는 수준인가요?
 

p.s 최근에 홀터검사를 해보니 이단맥이 여러번 나왔습니다.
그리고 초음파검사에서 승모판에 눈꼽만큼 피가 샌다고 했는데,
이게 위험한 것을 의미하나요?

file_download

[답변]

안녕하세요, 

 

저희 부정맥 센터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아울러 답변이 늦어진 점 송구스럽습니다. 

 

심실 조기 수축 때문에 고생이 많으신 것 같습니다. 

 

 

 

심실 조시 수축은 전기생리학 검사로 부정맥을 유발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시술의 보험적용 기준 자체도 홀터상 심실조기수축이 15% 이상 관찰되는 것이구요..

 

다만 홀터상 비지속성 심실빈맥 (심실조기수축이 연달아 나오는 것이라고 쉽게 이해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이 관찰될 경우에는 이의 시술적 치료가 가능합니다. 

 

아마 비지속성 심실빈맥도 있을 수 있으실 것 같은데 아직 심전도상 증명은 안되신 것 같습니다. 

 

 

 

과격한 운동은 모든 종류의 부정맥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프로선수처럼 너무 열심히 하시면 좋지 않구요.. 유산소 운동을 몸에 무리가 가지 않는 선에서 꾸준히 해 주시는 것은 아주 좋습니다. 불안감이나 스트레스도 부정맥의 명백한 악화인자이구요

 

 

 

심실조기수축이 두개 연달아 나오면 couplet, 3개 이상 연달아 나오면 비지속성 심실빈맥입니다. 비지속성 심실빈맥은 정밀 검사 및 필요시 적적한 치료를 하셔야 합니다. 한개씩 번갈아 나오는 것은 bigeminy라고 합니다. Bigeminy까지 있을 정도면 보통은 부정맥의 빈도가 많으며 대부분 시술의 적응이 됩니다 (증상이 있다면).

 

 

승모판에서의 경도 역류는 임상적 의미가 미미하며 따라서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심실조기수축 때문에 고생이 많으실 것 같은데 약물적 치료 및 시술적 치료로 분명 증상의 경감 내지는 완치까지 도모할 수 있으므로 꼭 잘 치료받으시기를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김윤기 배상 

 

 

 

 

 

2019.09.20
2019.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