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맥이해

부정맥 상담 검색

부정맥 진단이 어려운가요?

대학생

Views 1558

[질문]

저는 24살, 여대생입니다. 제가 중1때, 처음 증상이 나타났는데요...(약10년 정도 됐죠) 갑자기 심장이 빨리 뛰다가, 심호흡을 크게 하고 조금 안정을 취하면 다시 정상으로 돌아오는 증상이 있습니다. 그럴때 제가 심박수를 헤아려보면 180-200회 정도 되구요. 심리적인 공포 때문인지 약간 어지러움은 느끼지만 평상시와 크게 다른 점은 없습니다. 운동을 하다가 그런 경우도 있었지만 대개는 아무 이유없이 갑작스럽게 나타났다가 평균적으로 10-30분 정도 이내에 사라지곤 합니다. 1년에 2-3회 정도 그러는 것 같구요. 좀 잦은 해에는 4-5회 정도 나타나기도 합니다. 그런데 얼마 전에는 며칠 간 연속적으로 3회나 그런 증상이 나타나서 걱정이 되어서 병원에 갔습니다. 심전도 검사를 하고 선생님과 상담을 했는데, 선생님 말씀으로는 그런 증상이 나타났을 시에 심전도 검사를 해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고 하십니다. 심초음파 검사와 운동부하 검사, 홀터검사 등을 한번 해볼 것을 권유하셨는데요... 저 같은 경우에는 증상이 지속되는 시간이 그렇게 길지는 않기 때문에 그런 증상이 나타났을때 병원에 가더라도, 가는 도중에 진정이 되는 경우도 있거든요. 그렇다면 제 부정맥 증상은 진단이 어려운가요? 고주파..그 시술도 여쭈어 보았더니, 횟수가 자주 나타나고 또 증상이 있을 시에 찍은 심전도가 있는 사람들에 한해서 한다고 하시더라구요. 자주 그러는 것은 아니지만, 오랫동안 이런 증상 때문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서요.. 고칠 수 있는 병이라면 꼭 고치고 싶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 부정맥을 진단하는 방법은, 그런 증상이 나타났을 때 심전도를 찍어 확인하는 것 말고는 다른 방법이 없는지 무척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file_download

[답변]

부정맥의 지속시간이 짧은 경우에는 대개 심전도 진단에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이 때문에 부정맥 치료를 제대로 받지 못하고 정신과 치료나 안정제를 투여를 받는 경우도 상당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환자들이 겪는 좌절감과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개발된 방법이 전기생리검사이며 전기생리검사로 유발된 부정맥이 고주파 절제술이 가능하다면 진단과 동시에 치료를 시행하게 됩니다. 질문하신 증상으로 보아서 발작성 빈맥의 가능성이 높은데, 이 경우 고주파 절제술로 치료가 가능하며 진단을 위해 전기생리검사를 바로 시행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의료보험 공단에서 부정맥 심전도 없이 전기생리검사를 하는 경우 혜택을 주지 않으려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긴 합니다. ---------- ☞ 대학생님의 글 ---------- > 저는 24살, 여대생입니다. > 제가 중1때, 처음 증상이 나타났는데요...(약10년 정도 됐죠) > 갑자기 심장이 빨리 뛰다가, 심호흡을 크게 하고 조금 안정을 취하면 > 다시 정상으로 돌아오는 증상이 있습니다. > 그럴때 제가 심박수를 헤아려보면 180-200회 정도 되구요. > 심리적인 공포 때문인지 약간 어지러움은 느끼지만 평상시와 크게 다른 점은 없습니다. > 운동을 하다가 그런 경우도 있었지만 대개는 아무 이유없이 갑작스럽게 > 나타났다가 평균적으로 10-30분 정도 이내에 사라지곤 합니다. > 1년에 2-3회 정도 그러는 것 같구요. 좀 잦은 해에는 4-5회 정도 나타나기도 합니다. > 그런데 얼마 전에는 며칠 간 연속적으로 3회나 그런 증상이 나타나서 > 걱정이 되어서 병원에 갔습니다. > 심전도 검사를 하고 선생님과 상담을 했는데, 선생님 말씀으로는 > 그런 증상이 나타났을 시에 심전도 검사를 해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고 하십니다. > 심초음파 검사와 운동부하 검사, 홀터검사 등을 한번 해볼 것을 권유하셨는데요... > 저 같은 경우에는 증상이 지속되는 시간이 그렇게 길지는 않기 때문에 > 그런 증상이 나타났을때 병원에 가더라도, 가는 도중에 진정이 되는 경우도 있거든요. > 그렇다면 제 부정맥 증상은 진단이 어려운가요? > 고주파..그 시술도 여쭈어 보았더니, > 횟수가 자주 나타나고 또 증상이 있을 시에 찍은 심전도가 있는 사람들에 한해서 한다고 하시더라구요. > 자주 그러는 것은 아니지만, 오랫동안 이런 증상 때문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서요.. > 고칠 수 있는 병이라면 꼭 고치고 싶습니다. > 저 같은 경우에 부정맥을 진단하는 방법은, 그런 증상이 나타났을 때 심전도를 찍어 확인하는 것 말고는 > 다른 방법이 없는지 무척 궁금합니다. >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04.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