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맥이해
부정맥 상담 검색
발작성 심방세동 문의입니다.
밧대리
|Views 987
[질문]
안녕하십니까?
다름이 아니오라 발작성 심방세동과 관련화여 문의를 드릴려고 합니다.
저는 2005년 12월경 전일 많은 음주 후 택시를 잡기위해 추운 날씨에 한시간 정도 밖에 있다가
집에 와서 수면을 취했습니다.
이후 아침이 되어서 출근을 위해 일어나 기지개를 켜는 순간 심장이 두근두근 거리기 시작하여
좀 있으면 나아지겠지하고 출근하여 근무를 하였는데 점심 시간이 지나도 증상이 지속되어
울산병원에 진료를 받은 결과 허혈성 심장질환(발작성 심방세동)이라는 판정을 받았습니다.
증상은 오후 3시쯤 완전히 사라졌고 2년여가 흐른 지금까지 동일한 증상은 없었습니다.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보니 과거 6년 전 쯤에도 동일한 증상을 느껴서 일반 약국에서 청심환을 처방 받아 먹고 한시간 가량 정도 후에 없어진 기억이 있고 그 이전에도 한번 정도 같은 증상이 있었던거 갔습니다.
지금 특이한증상은 없고 맥이 좀 빨리 뛰었다가(100~120회) 가끔 가슴이 철렁하는 느낌이 듭니다.
일상 생활에는 큰 지장이 없으나 아직 29살 밖에 되질 않았는데 급사의 두려움도 있고 치료를 받아야 할지 아니면 운동과 식습관 개선으로 현재 상태를 유지해야 할 지 고민입니다.
울산의 몇군데 병원에서는 발작성 심방세동으로 중풍의 위험이 있지 급사의 위험은 거의 없다고하는데 사실인지 궁금합니다.
또한 저 같은 케이스의 환자는 전극도자 절재술을 받는게 나을지 아니면 관찰하다가 증상이 조금더 심해지면 치료를 받는게 나을지 문의드립니다.
바쁘시겠지만 답변을 꼭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발작성 심방 세동은 심방세동의 발생 빈도가 얼마나 자주 있으며 당시 동반되는 증상의 정도 및 지속 시간들을 고려하여 약물 또는 전극도자 절제술을 시행하게 됩니다. 평상시에는 정상 리듬으로 유지되고 있는지 아니면 심방 세동이 만성적으로 변해 심방 세동은 있으나 자각 증상만 없는 상태인지를 감별 진단하는 것이 필요하십니다. 이를 위해 부정맥 전문의의 진료를 받으시면 연령과 심장 기능등을 다각적으로 고려한 적절한 처방이 있을 것입니다. ---------- ☞ 밧대리님의 글 ---------- >안녕하십니까?
>다름이 아니오라 발작성 심방세동과 관련화여 문의를 드릴려고 합니다.
>저는 2005년 12월경 전일 많은 음주 후 택시를 잡기위해 추운 날씨에 한시간 정도 밖에 있다가
>집에 와서 수면을 취했습니다.
>이후 아침이 되어서 출근을 위해 일어나 기지개를 켜는 순간 심장이 두근두근 거리기 시작하여
>좀 있으면 나아지겠지하고 출근하여 근무를 하였는데 점심 시간이 지나도 증상이 지속되어
>울산병원에 진료를 받은 결과 허혈성 심장질환(발작성 심방세동)이라는 판정을 받았습니다.
>증상은 오후 3시쯤 완전히 사라졌고 2년여가 흐른 지금까지 동일한 증상은 없었습니다.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보니 과거 6년 전 쯤에도 동일한 증상을 느껴서 일반 약국에서 청심환을 처방 받아 먹고 한시간 가량 정도 후에 없어진 기억이 있고 그 이전에도 한번 정도 같은 증상이 있었던거 갔습니다.
>지금 특이한증상은 없고 맥이 좀 빨리 뛰었다가(100~120회) 가끔 가슴이 철렁하는 느낌이 듭니다.
>일상 생활에는 큰 지장이 없으나 아직 29살 밖에 되질 않았는데 급사의 두려움도 있고 치료를 받아야 할지 아니면 운동과 식습관 개선으로 현재 상태를 유지해야 할 지 고민입니다.
>울산의 몇군데 병원에서는 발작성 심방세동으로 중풍의 위험이 있지 급사의 위험은 거의 없다고하는데 사실인지 궁금합니다.
>또한 저 같은 케이스의 환자는 전극도자 절재술을 받는게 나을지 아니면 관찰하다가 증상이 조금더 심해지면 치료를 받는게 나을지 문의드립니다.
>바쁘시겠지만 답변을 꼭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