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맥이해

부정맥 상담 검색

심실기외수축치료법문의드립니다

캔디맘

Views 725

[질문]

안녕하세요~

2010년에 심실기외수축 진단받았구요

몇해전에 심실기외수축으로 김영훈 교수님께 진료를 본적있구요..

그때 당시 24시간hoter상 12%정도였고 크게 불편한 증상없어서....교수님은 약물이나 전극도자술 고려전에 그냥 생활패턴이나 운동요법으로 지켜보자고하셨어요.. 

그 뒤로도 지방병원에서 holter검사만 여러번했는데..많게는 20%가 넘었고..평균이 15%내외였던거같아요..심초음파상 정상이구요

그리곤..차라리 잊고사는게낫겠다싶어 두세해동안 검사안하다

최근에 어지러움과 두근거림증상이 보여 holter하니 18%로 나오네요.. 심장초음파상에는 역시나 다른 이상은 없구요

생활하기 불편할정도로 증상이 계속되는건 아니고 하루에 두세번 가끔씩 보입니다

약물복용에 대한 부작용우려와 증상이 크게 나아지지않는다는 말도 있고해서...(현재 갑상선약복용중)

차라리 적응증이 된다면 전극도자절제술을 시도해봤음하는데요.. 그게 적절한건지와 시술받으면 더이상 기외수축이 안나타나는지... 약물보다 확실한 방법이라면 하고싶습니다.

홀터상 몇프로 정도 되면 보통 시도하는지도 궁금합니다..

답변기다기겠습니다...읽어주셔 감사합니다~

file_download

[답변]

홀터상 몇 %가 나오는가만 가지고 시술을 결정하지는 않습니다.

홀터에서 15% 이상 심실기외수축이 나와도 증상이 심하지 않고 초음파상 정상이면

굳이 시술까지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현재 요양급여 기준으로는 심실기외수축이 15% 이상이면서 심초음파상 심실 기능이 떨어져있고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을 경우에만 보험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시술의 성공률은 약 80-90% 입니다.


감사합니다.  


2016.05.31
2016.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