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맥이해
부정맥 상담 검색
무증상 심방세동의 치료법
김동영
|Views 434
[질문]
안녕하세요. 저는 45세 남자이고, 최근 건강검진에서 심방세동 진단을 받아 향후 어떻게 하는게 좋을지 고민하다가 다음과 같이 질문을 드립니다.
1. 2015년 이후 매년 건강검진을 했고, 고지혈증, 지방간 등의 증상 이외에 특별한 증상 없었고, 2019. 7.경 건강검진 시 중성지방이 과도하게 높아 2019. 여름부터 동네 가정의학과 의원에서 고지혈증 약을 먹기 시작함(고혈압 전 단계이지만 고혈압 약을 복용하지 는 않음)
2 2. 2020. 11. 4. 건강검진시 심전도 검사에서 최초로 심방세동 진단을 받아 2020. 11. 19. 종합병원에 방문해 추가 심전도 검사를 시행하여 심방세동으로 진단받았고, 추가로 2020. 12. 8. 및 12. 9. 홀터 검사, 심장초음파, 운동부하 검사를 받았고, 2020. 12. 17. 종합병원에서 심장세동 확진을 받고, 현재 상황보다 더 좋아질 수는 없고, 향후 덜 나빠지지 않기 위한 치료밖에 없다고 하면서 일단 다음과 같이 2주 동안 복용하라는 권고를 하면서 약처방을 받고, 그 다음은 상황을 보고 치료하겠다는 이야기를 들음
처방받은 약 : 탬보코정 50㎎ 아침저녁 2정, 이솦틴정 40㎎ 아침저녁1정, 와르파린정 2㎎ 자기 전 2정
3. 평소 심장에 이상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않고 살았고, 현재도 별다른 증상을 느끼지 않고 있지만, 심전도 검사를 하면 심방세동 리듬이 관찰됨, 심장초음과 검사 결과 심장크기는 정상이고, 심방세동으로 WAVE가 소실되었다고 나옴
4. 인터넷, 카페, 유투브 등의 정보에 의하면 위와 같은 증상은 지속적 심방세동으로 구분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혈액검사, 심전도 검사, 홀터 검사, 운동부하검사, 심초음파 검사 -> 약물 복용 -> 재발 -> 약물 변경 -> 재발 후 지속 -> 심율동 전환술 혹은 전극도자 절제술 등의 절차를 진행하는 것을 알고 있음
질문
1. 저와 같은 경우에 약물만으로 치료할 수는 없는지요?
2. 약물만으로 치료가 안 되어 심율동 전환술을 할 경우 정상 리듬으로 돌아온 후 약을 복용하지 않고 지낼 가능성이 없는지요? 대부분 정상 리듬이 일시적으로 돌아오더라도 다시 돌아간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습니다.
3. 저와 같은 증상이 없는 지속적 심장세동의 경우 발작성 심박세동과 달리 효과가 없어 전극도자 절제술이 권장되지 않는다고 들었고(노태호 교수님의 블로그 및 유투브), 전극도자 절제술을 해도 재발가능성이 높다고 들었습니다. 지속적 심방세동의 경우 삼성병원에서만 시행하는 하이브리드 시술이 효과가 들었습니다. 만약 약을 복용해도 정상 리듬으로 돌아오지 않을 경우 그냥 계속 시술을 생각하지 않고, 약을 복용하기만 하면 되는지, 아니면 전극도자 절세술도 효과가 있는 것인지? 아니면 바로 하이브리드 시술을 해 보는 것이 나은지요?
[답변]
안녕하세요,
저희 부정맥 센터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지속성 심방세동으로 진단 받으신 것으로 사료됩니다. 좌심방 크기는 비교적 크지 않은 상태로 사료됩니다.
지속성 심방세동인 경우에도 드물지만 약물적 치료에 잘 반응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금주, 규칙적인 운동, 스트레서 감소 등의 생활 습관 개선 노력과 병행하면 더욱 좋습니다.
다만 약물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도 많은데요, 이 경우에 심방세동에 대한 고주파 절제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지속성 심방세동 또한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고주파 절제술이 적극적으로 권고 됩니다. 수술적 치료는 일차적인 치료로는 권고되지 않습니다. 유럽 / 미국 가이드라인 모두 공히 위와 같은 내용을 기술하고 있습니다.
시술적 치료의 성공률은 환자마다 개인차가 심하여 일괄적으로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 어떤 분들께서는 말기 심방세동으로 간주하였으나 막상 시술적 치료를 하였더니 폐혈관에 의한 심방세동으로 판명되어 결과가 좋은 경우도 있고, 발작성 심방세동이었으나 막상 치료하였더니 여기저기서 유발 신호들이 발생하여 난치성으로 판명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최근에는 시술적 치료의 효과와 안전성이 많이 향상되었습니다. 따라서 약물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 한하여 고주파 절제술 치료를 받아보시는 것을 적극적으로 권유드립니다.
부디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김윤기 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