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맥이해
부정맥 상담 검색
심방비대로 인한 부정맥(김영훈교수님~!)
경현진
|Views 976
[질문]
안녕하세요?
82년생 여자입니다.
김영훈교수님 몇가지 여쭙고자합니다
저의 진단명은 Atrial flutter입니다.
2006년 보건증을 하기위해 보건소를 찾았다가 의사의 권유로 좌심방비대가 있다는것을 알았고 일상생활에 아무증상이없어 mri등 여러가지 검사를 하였지만 비대의 원인을 찾지 못한채 퇴원하였습니다. 2009년 가슴이 답답하고 누워있는등 안정을 취하면 괜찮아 졌다가 앉거나 움직이면 맥박수가 급증하여 병원에가서 심전도를 찍어보니 부정맥이 의심되어 검사를 하여 심방세동이라는것을 알았습니다. 물론 여전히 좌심방비대이며 그 원인은 찾을수 없으며 판막도 정삼입니다. 전기충격율동 전환술 시행후 회복되어 생활하던중2011년 4월 다시재발하였고 임신을 위해 약을 복용하지 않았습니다. 그이후 임신이 되어 유지하던중 갑자기 자궁무력증으로 2011년8월 1일 유산하였고 8월 16일 재발,12월 1일 재발하여 100j,50j의 전기충격율동 전환술 시행으로 회복되어 일상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여전히 임신 계획중으로 약은 복용하지 않고 적당한운동으로 체중을 관리 하고있습니다.
제가 궁금한것은 혹시 저의 같은 경우도 시술을 통해 완치가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의사선생님께서 3.5cm?정상의 심장이 이정도면 저는 6정도 된다고 하시더군요..자꾸 재발되고 임신시 이럴경우 치료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복불복으로 재발되지 않기를 바라기면해야하는건지 아니면 시술을 통해서 완치할수 있다면 완치후 임신을 하고 싶어서 글을 남깁니다.
지방에 살고 있어 찾아 뵙고 진료받는것이 바람직하나 이렇게 글로 상담합니다.
[답변]
심방조동(atrial flutter)만 있는 경우 완치를 목적으로 전극도자절제술 시행합니다. 그러나, 상당수에서 심방세동 (atrial fibrillation)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심방세동은 1) 약물유지치료에도 효과가 없어 재발하는 경우, 2) 빈맥-서맥증후군으로 약제 복용이 어려운 경우엔 완치를 목적으로 전극도자절제술을 고려합니다. 환자분 상태 및 심장 상태등 전반적인 의학적인 상태를 고려하여 시술 여부를 결정하므로 담당의사선생님과 자세한 상담이 필요하겠습니다. ---------- ☞ 경현진님의 글 ---------- >안녕하세요?
>82년생 여자입니다.
>김영훈교수님 몇가지 여쭙고자합니다
>저의 진단명은 Atrial flutter입니다.
>>
2006년 보건증을 하기위해 보건소를 찾았다가 의사의 권유로 좌심방비대가 있다는것을 알았고 일상생활에 아무증상이없어 mri등 여러가지 검사를 하였지만 비대의 원인을 찾지 못한채 퇴원하였습니다. 2009년 가슴이 답답하고 누워있는등 안정을 취하면 괜찮아 졌다가 앉거나 움직이면 맥박수가 급증하여 병원에가서 심전도를 찍어보니 부정맥이 의심되어 검사를 하여 심방세동이라는것을 알았습니다. 물론 여전히 좌심방비대이며 그 원인은 찾을수 없으며 판막도 정삼입니다. 전기충격율동 전환술 시행후 회복되어 생활하던중2011년 4월 다시재발하였고 임신을 위해 약을 복용하지 않았습니다. 그이후 임신이 되어 유지하던중 갑자기 자궁무력증으로 2011년8월 1일 유산하였고 8월 16일 재발,12월 1일 재발하여 100j,50j의 전기충격율동 전환술 시행으로 회복되어 일상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여전히 임신 계획중으로 약은 복용하지 않고 적당한운동으로 체중을 관리 하고있습니다.
>제가 궁금한것은 혹시 저의 같은 경우도 시술을 통해 완치가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의사선생님께서 3.5cm?정상의 심장이 이정도면 저는 6정도 된다고 하시더군요..자꾸 재발되고 임신시 이럴경우 치료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복불복으로 재발되지 않기를 바라기면해야하는건지 아니면 시술을 통해서 완치할수 있다면 완치후 임신을 하고 싶어서 글을 남깁니다.
>지방에 살고 있어 찾아 뵙고 진료받는것이 바람직하나 이렇게 글로 상담합니다.
>